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태풍 클럽> 리뷰 : 불완전한 시절의 청사진

REVIEW 리뷰

by 강릉독립예술극장신영 2024. 7. 15. 21:46

본문

 

<태풍 클럽>

불완전한 시절의 청사진

 

 침체되어 있던 일본 영화에 새로운 생명력을 불어넣었던 <태풍 클럽>40년 만에 돌아왔다. 1985년에 처음으로 개봉된 영화 <태풍 클럽>은 격동 속에 놓여있던 1980년대 일본 사회 속 방황하는 청소년들의 모습을 그려낸다. 영화는 일본의 시골을 배경으로 하며, 태풍으로 인해 학교라는 울타리 내부에 고립된 학생들의 혼란과 갈등, 그리고 그 속의 성장을 묘사한다.

 

 “농부의 아이들이라는 소재에도 불구하고 영화에는 편견 속 시골 마을의 평화와 조용함 같은 것이 없다. 오히려 그 아래 잠재된 것은 불안이다. 그들의 서툶은 아이들의 때 묻지 않음을 대변하지만 동시에 잠자리의 날개를 찢는 무구함만큼이나 위협적이다. 이러한 양가성은 시퀀스로 부각된다. 야간의 학교 수영장에서 노래에 맞춰 춤을 추는 여학생들이 동급생을 물에 빠뜨려 위험에 처하게 만드는가 하면, 수업 중의 과한 장난은 기어이 피를 낸다. 관객들은 등장인물들의 설익은 행동들이 폭력성으로 치환되는 과정을 반복해서 목격하면서 결국 그들을 마냥 웃으며 지켜볼 수 없는 위치에 처하게 된다. 이러한 분위기는 아마도 영화가 배경으로 하는 1980년대 사회 경제의 불안한 기조에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게다가 그들이 중학생인 것을 고려하면, 우리는 인물들의 충동성을 더욱 유연하게 이해할 수 있다.

 

 학교와 학생들을 구심점으로 하는 일반적인 영화가 그렇듯이, 이 영화에서도 선생님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다만, <태풍 클럽>에서 선생님은 인솔자의 역할보다는 전제적인 어른들을 대변하고, 학생들과 대립 관계로 부각된다. 수학을 담당하는 우메미야 선생(미우라 토모카즈)은 연인과의 개인적 문제로 인해 수업 중 불미스러운 소동을 일으키며, 우등생인 오마치 미치코(오니시 유카)를 비롯한 학생들에게 신용을 잃는다. 또한 나중에 설명하겠다는 그의 말은 임기응변에 불과한 것으로 묘사되고 결국 지켜지지 않으며, 고립된 학생들이 도움을 요청할 때 그는 취한 상태로 미카미 쿄이치(미카미 유이치)와 논쟁을 벌이기도 한다. 여기서 그는 자신을 부정하는 미카미의 말에 너도 18년이 지나면 나와 똑같아질 것이라며 선언하는데, 미카미는 절대 당신과 같은 어른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대답으로 반목한다.

 

 등장인물 중 가장 조숙하게 그려지는 미카미의 대답은 권위에 저항하는 청소년이 느끼는 미래(어른)에 대한 절망을 담고 있다. 이러한 지점에서 미카미의 죽음은 겨우 당신과, 혹은 우리들과 같은 어른이 되지 않겠다는 선언이자 결정이다. 그러나 감독은 결코 그것을 미화하며 순교로 두지 않았다. 오히려 미카미가 흙탕물로 처박힌 듯한 연출을 통해서 그의 죽음을 우스꽝스럽게 만들었고, 이는 무릇 죽음이란 결코 아름다울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미카미의 죽음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단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이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들은 속세에 찌들기 전의 순수한 모습으로 영원히 남는것에 대한 추동을 이해하고 있으며, 어쩌면 일부분은 그 순수성을 동경할 것이기 때문이다.

 

 소마이 신지 감독의 <태풍 클럽>은 청소년들의 욕망과 성적, 폭력적 행동을 노골적으로 담은 연출로 인해 당시 일본 사회에서 비판받았지만, 현재는 꾸밈없는 청소년 영화이자 후대 감독들에게 큰 영향을 준 영화로 중요하게 평가된다. 의미 있는 1980년대 영화가 재개봉하는 것은 영화 팬들에게 분명히 환호할 소식일 것이다. 그러나 그 반가움이 영화가 1980년대 영화이기 때문에도리어 허용되는 장면들과, 현대인의 시각에서는 분명히 보이는 비판점들까지 가려 주지는 못한다. 여전히 오늘날 이 영화를 재개봉하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지만, 각 시대상에 따라서 무한히 재평가되는 것 또한 예술의 특권일 것이다. 그러므로 이 영화의 재개봉은 담론을 형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도출한다는 점에서 명작으로서의 명예를 지키는 걸 수도 있겠다.

 

- 관객리뷰단 조수빈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