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는보리> 리뷰 특집 : 스스로 선택하는 언어 - 박형순

SPECIAL 기획

by 강릉독립예술극장신영 2020. 6. 8. 14:59

본문

지역 커뮤니티 시네마 : <나는보리> 리뷰

김진유 감독의 <나는보리>521일에 개봉했습니다. 강릉에서 영화를 만드는 것이 얼마나 힘든 줄 알기에, 작은 마음을 모아 <나는보리>를 응원하고자,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영화 리뷰 활동가들에게 원고를 부탁하였습니다. 영화에 누가 되지는 않을까 걱정하면서도, 애정과 깊이를 가지고 <나는보리>를 보고, 듣고, 썼습니다.


 

스스로 선택하는 언어

/ 박형순 (신영 관객리뷰단)

 

영화를 보고 난 뒤, 내가 경험했던 어떤 일화가 떠올랐다. 터미널에서 집으로 가는 버스가 출발하기를 기다리며 무료하게 창밖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때 한 남자가 눈에 들어왔다. 버스 안을 바라보며 연신 몸짓을 하고 있었다. 다시 시선을 돌려 앞 좌석을 보니 한 여자도 버스 밖을 바라보며 똑같이 작은 손짓을 하고 있었다. 소리쳐도 주변 소음 때문에 들리지 않을 말이 서로의 몸짓으로 전해지고 있었다. 창문으로 가로막혀있지만 그들의 대화에는 장애가 없어 보였다. 나는 그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알 턱이 없었고 청각장애인의 언어에 대해 알지 못했다. 그저 서로에게 손을 흔들며 헤어지는 순간까지 내 눈엔 그들의 모습은 아름다워만 보였다.

 

대상에 대한 무지와 거리 두기는 그 모습을 아름답게만 보이게 한다. 영화의 주인공인 보리(김아송)의 가족은 멀리서 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하지 못할 정도로 평범한 가족이다. 단오장에서 축제를 즐기는 가족들의 모습을 카메라는 거리를 두며 멀리서 다른 가족들과 구분하기 힘들만큼 평범하게 비춘다. 잃어버린 가족들을 찾아 헤매는 보리의 곤란한 모습은 카메라 가까이 밀착해서 따라가는 것과는 확연히 대비된다. 가까이 다가갈수록 겉으로 드러나지 않던 그 고요한 가족의 문제가 드러난다. 어른들이 아니라 도리어 어린 보리가 가족을 찾아 헤매는 모습은, 농인 가족 안에서 청인으로 살아가는 코다(CODA, Children Of Deaf Adult)의 어려움을 잘 보여준다. 가족 안에 있기 위해 아이답지 않은 노력을 해야 하는 보리. 하지만 아이가 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는 법이다.

 

보리는 말을 할 수 있으면서 수화까지 할 수 있으니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자다. 능력은 자신의 가족과 세상을 만나고 소통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가족들에게 익숙해진 이 능력은 보리를 부모의 보호를 받아야 할 아이에서 좀 더 외곽으로 밀려나게 만든다. 어른인 부모와 어린 정우(이린하) 사이, 낭떠러지 바다와 도로 사이, 들리는 세상과 들리지 않는 가족 사이. 그렇게 보리는 경계에 위치해 있다. 영화 도입부의 화면은 보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지 않다가 엔딩에 그 장면으로 되돌아가 경계석 위에 서 있는 것을 보여준다. 아름다워 보이는 화면과는 다르게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그 모습은 보리가 쉽게 위험에 처할 수 있는 아이라는 것과 가족의 경계 위에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더불어 그 경계석 위에서 자신이 어떻게 균형을 잡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시험하고 싶어 하는 아이의 도전으로 읽힌다.

 

집 안에서와 다르게 보리는 집 밖에서 활기차게 뛰어다닌다. 아이는 몸을 움직이며 자신이 경험한 세계를 확장 시키고 자신만의 언어를 만들어 간다. 보리는 말을 잃고서야 자신의 능력을 감추고 다시 아이가 됐지만, 가족들과 가는 곳마다 청각장애인에 대한 편견 어린 말과 대우에 직면한다. 모기장 안에서 가족들의 진심을 계속해서 확인하다 진실을 말하고 울음을 터트리는 보리는 영락없는 어린아이이다. 보리가 말을 다시 하기로 결심한 것은 스스로 한 결심이다. 말하지 않아도 표정으로 이해하는 동생과 말로 속상함을 토해내도 이해하고 토닥여주는 부모님. 이제 보리는 애쓰지 않아도 자신이 꼭 청인이라서 사랑받는 게 아니라는 것을 알지 않을까. 영화 속 보리는 정말 안 들리기 때문에 안 들리는 척한 건 아니다. 그 행동은 마치 어린아이의 말 배우기처럼 가족들을 흉내 내면서 들리지 않는 가족들이 겪고 있을 차별을 체험한 것이다. 겉으로 보이는 좋은 모습뿐 아니라 그 보이지 않는 어려움까지 닮아가고 이해하는 과정을 보리의 성장으로 보여준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